비전공자도 마케터 되는 8주 집중코스, 마케팅러너 3기
ㆍ 프로젝트 기간 : 2022.12.10 - 2023.01.13
ㆍ 모집 기간 : 2022.12.19 - 2023.01.19
ㆍ 예산 : n,000,000원
ㆍ 집행 금액 합계 : n,209,703원
KPI: 7,940,000원 → 29,350,000원(370%초과 달성)
매체별&활동별 성과
1) META (ROAS 674%)
ㆍ전환 수 : 35건
2) 인플루언서 (ROAS 104%)
ㆍ전환 수 : 5건
3) 네이버 SA (ROAS 219%)
ㆍ전환 수 : 2건
4) CRM (ROAS 1820%)
ㆍ전환 수 : 9건
5) 네이버 & 구글 오거닉/레퍼럴
ㆍ전환 수 : 19건
6) 직접유입 / 기타
ㆍ전환 수 : 16건
FB/IG 광고 : 트래픽 캠페인
전환 성과 ⇒ 총 6.5건 전환
ㆍROAS =423%
ㆍ구매 전환 일자 : 12/28, 1/2, 1/4, 1/6, 1/11
SUMMARY
Table
Search
RESULT
메타 트래픽 1차 캠페인 (2022.12.23 - 2022.12.27)
RESULT
•
특정 킬링 소재를 찾지 못함
•
평균 CPC가 569원으로 다소 높은 편
•
27-33 타겟은 후기형, 22-26 타겟은 상반기 공채 소재가 통한 것을 확인함
TROUBLES SHOOTING / UPDATE
•
관심사
◦
광고세트당 관심사가 많음 ⇒ 관심사를 세분화해서 광고 세트 총4개→총6개로 증가
◦
1차 때 상대적으로 반응이 좋았던 27-33 광고 세트를 늘림 (2개→4개)
•
소구점
◦
<현직자 강사 강조> 소구점 소재 클릭수가 없었기 때문에 삭제
→ 템플릿 제공, VOD 제공 등을 강조한 <혜택 강조> 소구점으로 바꾸고 새 소재 제작
•
소재
◦
전체적으로 노출 수에 비해 클릭 수가 저조한 편
→ T.P.O(시간,장소,상황) 요소 추가하여 소재 새로 제작
→ 구체적으로 상황적인 부분 넣어서 공감 이끌어내도록 소재 제작
REALIZE
- 성과가 좋지 않은 소재는 중간에 꺼도 좋을 것 → 실시간 모니터링이 부족했음
- 특정 킬링 소재를 찾기 위해 소구점 별 소재를 새롭게 만들어 새 캠페인으로 시작해야 함
- 목표를 CPC 300원대로 설정하여 1차 CPC 600원대에서 50% 감소하는 것이 목표!
- 22-26 대학생 타겟은 공채에 관심이 많은 반면 27-33 취준생 타겟은 후기형과 취업률 소재에 관심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음
메타 트래픽 2차 캠페인 (2022.12.31 - 2023.01.04)
RESULT
•
소구점 2.취업률이라는 킬링 소재를 발굴함
•
CPC 평균이 569원 → 324원으로 감소함! 목표 달성
•
27-33보단 22-26에서 취업률 소재를 가장 많이 도달하고 클릭한 것으로 보아 22-26 타겟이 취업 프로그램에 더 관심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음
TROUBLES SHOOTING / UPDATE
•
소재
◦
전환 캠페인에서 상위 소재를 추가할 것 (3개 추가)
◦
킬링 소재 디벨롭하여 신규 소재 제작할 것 (6개 추가)
•
캠페인
◦
2차 캠페인이 최적화된 상태라 신규 캠페인 대신 연장하는 것이 좋을 듯
◦
기존 계획 5일씩 끊어서 하는 것보다 기간을 지속해도 좋을 듯
REALIZE
- 뜻밖의 소재가 가장 반응이 좋은 것으로 보아 소재는 항상 실험해보는 것이 중요함을 깨달음
- 킬링 소재에서 “마케팅 인턴 경험 없이 신입 마케터로 만들어드려요!” 문구 요인이 큰 것임을 알게 됨
→ 1차 때도 비슷하게 활동을 나열한 소재가 있었음에도 2차 소재가 잘된 것은 카피 때문일 것!
- 킬링 소재를 찾아냄으로써 평균 CPC가 낮아지고 클릭수가 높아진 결과는 마케터로써 성장하는 계기가 됨
메타 트래픽 3-4차 캠페인 (2023.01.05 - 2023.01.13)
RESULT
•
킬링소재 디벨롭한 소재 2개가 가장 높은 클릭수를 유발함! → 소재 디벨롭 성공
•
평균 CTR 1.81% → 2.44%로 높아짐
•
평균 CPC는 324원으로 2차 집행 때와 동일한 결과를 보임
REALIZE
- CPC가 감소할 수 있을까 의문이 들었는데 실제로 50% 감소하는 경험을 갖게 됨
- 사람들은 이목을 끄는 카피+구체성 있는 소재를 클릭하는 것으로 체감함
→ 소재는 디자인 보다는 카피와 소구점이 중요함!
- 예산 안에서 쓸 수 있도록 일예산 체크도 중요함을 느낌!
→ 일예산 3만원→4만원으로 증액하여 총 예산에 근접하여 사용할 수 있었음
- 페이스북 내에서 자체적으로 광고 한도를 측정하여 광고 게재를 제한한다는 사실을 알게됨
→ 이 때는 페이지 광고 한도를 증액 하면 됨!
네이버 SA
SUMMARY
광고 예산 : N만원 ⇒ 총 집행금액 : N원 ROAS = 219%
ㆍ1차 집행금액 : 비공개원
ㆍ2차 집행금액 : 비공개원
ㆍ3차 집행금액 : 비공개원
Table
Search
1차→2차 TROUBLES SHOOTING
키워드 99개 → 35개로 축소하여 키워드 관리를 용이하게 함
PC 3위, 모바일 2위 → PC 10위, 모바일 5위 노출 설정으로 키워드 입찰가
CPC광고, CRM마케팅, SNS광고, SNS마케팅 등 현직자가 많이 검색할 것 같은 키워드 제외
→ 마케팅부트캠프, 마케팅공부, 마케팅강의, 마케팅학원 등 마케팅 취준생 관심사 기반으로 키워드 설정
결과 : 노출수 8,420→4,019로 감소했지만 클릭수 12→34로 증가함
2차→3차 TROUBLES SHOOTING
노출수&클릭수가 적은 소재 2개 교체
→ 메타 성과 기반으로 반응 좋은 문구 사용하여 새로운 소재 2개 추가
소재 내용 중 6주 → 8주로 커리큘럼 변경사항 반영
확장소재 중 노출 제한 소재 제외, 신규 문구 추가 (제목1개, 설명1개)
결과
- 노출수 4,019 → 5,495, 클릭수 34→44로 증가함
- 클릭된 키워드 2차 10개 → 3차 16개로 증가함
- “8주 안에 마케터 취준하기” 소재가 총 23회로 3차에 걸쳐 가장 높은 클릭수를 보임
REALIZE
1. 키워드가 많다고 좋은 것은 아니다!
→ 키워드 수가 적더라도 광고와 연관 깊은 키워드만 선정하는 것이 중요!
2. 소재 카피에 따라 노출수&클릭수가 달라진다!
→ 노출 순위가 낮더라도 클릭을 유발하는 카피를 찾아가는 것이 중요!
3. 확장 소재 중 파워 링크 이미지는 시선을 더 끌 수 있는 요소이다!
→ 확장 소재 중 노출수&클릭수 상위가 이미지였음을 통해 검색광고에서 사진 추가는 필수!
4. 취준생 타겟은 PC보다 모바일로 검색광고를 더 많이 본다!
→ 마케팅 취준생 타겟으로 키워드를 추린 2&3차에서 모바일 노출수&클릭수가 더 높았음!
전환 분석
•
1/3 구매 전환 : 마케팅 학원 → 마케팅 교육과 연관 깊은 키워드로 프로그램 타겟과 일치
•
1/11 구매 전환 : 네이버 오가닉으로 결제해서 키워드 확인 X
→ BUT 검색 노출 효과로 인해 그로스쿨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 구매로 이어졌을 것으로 추측됨
CRM/뉴스레터
SMS PUSH
광고 예산 : CRM 전체 n0만원
집행액 : 8,046원
집행 건수 : 3건
타겟 : 대학생(22-26), 취준생 & 직장인 (27-33)
발송일 : 12.20, 12.29, 01.06
KPI : sms /카카오 전환 8건
REALIZE
발송한 CRM 중, 가장 전환율이 좋았고 가장 집행액도 적어 이번 사이드 프로젝트 CRM 파트에서 가격 대비 효율이 가장 좋은 매체.
이모지를 사용할 수 없어, 글과 기본 특수문자로 최대한의 가독성을 끌어내야함. 대외활동 모집형 공고 형식이 한눈에 빠른 정보를 전달 할 수 있었음.
KAKAO PUSH
광고 예산 : CRM 전체 만원
집행액 : 118,701원
집행 건수 : 2건
타겟 : 대학생(22-26), 취준생 & 직장인 (27-33)
발송일 : 12.29, 01.16
KPI : sms/카카오 전환 8건
1차 발송 2022.12.29(목) 14:00
2차 발송 2023.01.16 (월) 14:00
REALIZE
메시지를 너무 자주 보내면, 피로도 증가 등의 이슈를 고려하여 1.13 사이드 프로젝트 종료일 기준 1회밖에 집행하지 못했음 (집행 건수 별 비교는 16일 예약메시지 이후 분석 예정)
sms와 거의 동일한 형식인 기본 텍스트형 이외의, 카카오의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더 활용하면 좋을 듯함. 특히 코멘토 등과 같은 회사에서 사용하는 형식인 ‘와이드 이미지형’을 채택하여 타겟을 후킹할 카피를 가장 크게 강조하고, 홈페이지 링크 클릭으로의 유도가 가독성도 좋고 긴 글을 잃는 것에 대한 피로감이 없어 보여, 이후 카카오 CRM에서 도전해봐도 좋을듯함.
뉴스레터
광고 예산 : CRM 전체 만원
타겟 : 대학생(22-26), 취준생 & 직장인 (27-33)
발송일 : 01.04 / 01.11
뉴스레터 : 컨텐츠 수료생 인터뷰, 수료생 포트폴리오 공유
뉴스레터 KPI : 전환 1건
1차 발송 2023.01.04(화) 14:30 [2년차 같은 신입 마케터 장지원입니다.]
2차 발송 2023.01.11(수) 14:00 [일급기밀! 마케팅러너 졸업생 포폴공유]
TROUBLES SHOOTING / UPDATE
1차 발송 시, 메일 오픈율이 좋았지만 클릭률은 예상했던 것 보다 적었음
인터뷰 형식으로, 질문과 답변을 가독성 없이 길게 늘어 적음
통일성 없는 톤앤매너
단순 인터뷰라는 콘텐츠가 타겟들로 하여금 매력도가 떨어짐 → 실질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녹이고, 러너로의 관심으로 이어질 수 있는 콘텐츠 내용 필요
→ 이후, 2차 뉴스레터는 타겟에게 가장 관심있을 콘텐츠인, 졸업생들의 포폴공유라는 주제를 잡고 1) 통일화된 톤앤매너 2) 타겟이 필요로 하는 정보 전달 중심 3) 해당 포폴을 “마케팅 러너 3기를 들으면, 이 내용이 다 내 포폴에!” 라는 카피와 클릭 버튼 유도
결과
1차 뉴스레터와 2차 뉴스레터가 1주일 차이가 나기에, 오픈율이 차이가 있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2차 뉴스레터가 1~2기 마케팅러너 신청자에서 클릭률이 2.4% 증가했음을 볼 수 있음.
REALIZE
뉴스레터 독자들로 하여금 가장 필요한 정보가 무엇일지를 생각해보고, 콘텐츠를 구성해야함을 알 수 있었음.
그로스쿨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(특히 1~2기 마케팅러너 신청자) 단순 ‘신입 마케터 후기 인터뷰’ 보다는 현재 취업을 준비하는 상황에서, 직접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고 필요한 정보에 끌림을 알 수 있었음. 따라서 추후 뉴스레터 제작시 취준생들의 관점에서 가장 궁금해하는 정보를 선별할 필요성을 느낌.